Transcend Borders: Software & Design Ambitious people often get caught up chasing those who already have what they want, but the irony is that the outlier’s path is only a path for one. Every outlier has to carve their own (@anuatluru) |
|
|
About 데일리 노트
- 1편에서는 Google과 OpenAI가 2달 간격으로 출시한 리서치 어시스턴트 Deep Research 기능에 대한 소개와 "전문가"의 개념을 둘러싼 논의사항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2편에서는 Try-it-Yourself 편을 마련하여 라이브러리에서 선정한 5가지 서비스의 활용 방법을 요약했습니다. 업무에 적용해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 그럼, 이번 데일리 노트도 재미있게 읽어 나가시길 바라며, 2월 셋째 주 뉴스레터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언제든 Feedback 링크를 통해 자유롭게 피드백 전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지식 원소의 합성체: Deep Research |
|
|
(좌) Gemini Deep Research, (우) OpenAI deep research
Google은 24년 12월, Gemini Advanced 서비스 내 활용할 수 있는 리서치 어시스턴트 “Deep Research”를 공개한 지 2달이 지나지 않아 OpenAI도 지난 2월 2일, ChatGPT Pro 서비스 내 활용 가능한 유사 서비스 “deep research”를 공개했습니다.
연구의 세 단계를 “검색(Search)” → “분석(Analysis)” → “합성(Synthesis)”으로 볼 때, Google의 서비스는 요약 수준의 “분석(Analysis)” 단계까지 좋은 결과물을 내놓지만, OpenAI의 서비스는 특정 결론(ex. 인사이트 도출, 액션 플랜 작성 등)에 도달하여 방향성을 제시하는 “합성(Synthesis)” 단계까지 일부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두 서비스 성능의 차이는 엔진의 휘발유라고 볼 수 있는 기반 모델의 성능에 기인합니다. Google은 논리모델이 아닌 Gemini 1.5 모델에 기반한 반면, OpenAI는 논리모델인 o3 모델을 토대로 결과물을 출력하여, 답변의 깊이에 차이가 생긴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OpenAI의 Deep Research 서비스도 의도한 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프롬프트가 구체적이지 않거나 요청문의 문맥(Context)이 확실히 제공되지 않으면, 보고서 속 내용이 중복되는 경우가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리포트 출력 과정 중 방향성이 잘못되더라도, 아직까지는 최종 리포트가 모두 출력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위의 문제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프롬프트 입력 시 아래 권장 사항들을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 Clear & Specific: 명확하고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하며, 모델의 불확실한 부분에 대해 보충 설명을 하고, 가능한 많은 키워드를 (ex. 브랜드명, 기술 용어, 제품명) 제공해야 합니다.
- Direction: 동사를 통해 결과물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고 (ex. 비교, 제안, 추천, 보고), 원하는 결과물의 형태에 대한 지침을 (ex. LaTeX 형태의 보고서, AMA Style 인용) 서술해야 합니다.
- Context: 매우 기술적이거나, 특수 도메인 주제의 경우, 연구 맥락에 대한 내용을 복수의 파일 (ex. PDF, 파이썬 Script, 이미지)로 전달해야 합니다.
활용 가이드
전문가의 의미
|
|
|
Deep Research 서비스가 점차 고도화 된 형태로 시장에 나타나며 “전문성”의 개념 정의를 둘러싼 여러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 지식 노동자(애널리스트, 리서쳐, 컨설턴트 등)의 고부가가치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 (@signulll)
- 연구계에 만연했던 “과도한 배포” 문제를 해결하여 진정한 지적 가치를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 (@random_walker)
- 서비스의 출력물을 요청문의 인풋으로 넣었을 때 지식의 확장이 일어날 수 있는 희망 (@dharmesh)
어떤 입장을 가졌든, 곧 하나의 에이전트가 수많은 서류/협력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고, 나의 글을 읽거나/해석하는 상대방이 사람이 아닌 에이전트가 되는 “Agentic 시대”가 되어간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어 보입니다. (@ashtom | @emollick | @mckaywrigley)
위의 의견들을 참고하여 제가 생각하는 전문가의 정의는 “명확한 문맥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지식 원소를 조합”한 능력을 가진 자이며, 각 전문가가 도출한 최종 지식 합성체는 유일무이한 색깔을 가질 것으로 봅니다.
|
|
|
a16z의 파트너 Anish님이 얘기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알파(Alpha)는 특정 정보를 아는 것에서 나아가 실제로 AI 제품을 사용하는 데서 나옵니다. 이번 TIY (Try-it-Yourself)편을 통해서는 Software & Creativity 라이브러리 내용 중 (i) 커뮤니티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ii) 무료 트라이얼이 제공되어 접근성이 좋은 5가지 서비스들을 선별하여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한번 해보시고 피드백 링크를 통해 결과물/후기를 자유롭게 공유해주세요!
Hugging Face: Spaces
|
|
|
- 소개: 커뮤니티에 등재된 AI 모델/앱을 탐색/사용하거나 ML 데모 앱을 호스팅할 수 있는 AI Directory입니다.
- 활용: 이미지/비디오/텍스트 생성 등 여러 주제군에 대해 제작된 ML 데모 앱을 찾아보거나 직접 Space를 만들고 앱을 커뮤니티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 참고. Spaces 페이지 | 일반 사용자의 데모 영상 | 가격 티어
Mistral: Le Chat 챗봇 기능 업데이트 |
|
|
- 소개: Mistral의 챗봇 서비스의 주요 변경 사항으로는 (i) 빠른 답변, (ii) 샌드박스 코드 실행 환경, 데이터 분석, 시각화 생성 및 시뮬레이션 실행을 지원하는 Code Interpreter, (iii) Flux Ultra 모델 기반 이미지 생성, (iv) 실시간 웹 검색 기능, (v) 고급 문서 & 이미지 분석, (vi)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는 Memories, (vii) Canvas 창작 환경 등이 있습니다.
- 활용: 데스크탑 또는 모바일 앱으로도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업무에 활용하고 싶으신 경우 (ii) Code Interpreter, (v) 고급 문서 & 이미지 분석 기능, (vii) Canvas 기능을 우선적으로 활용해 보실 것을 추천 드립니다.
- 참고. Le Chat 업데이트 & 데모 영상 | 데스크탑 | 가격 티어
Github Copilot: Agent Mode |
|
|
- 소개: 자체 코드를 수정하고, 추후 수정 사항을 능동적으로 제안하는 에이전트 기능 'Agent Mode'가 Preview 상태로 출시되었습니다. 사용자가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추가 개발 작업을 유추하거나, 자체 출력 코드의 오류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수정해 주는 기능입니다.
- 활용: Copilot Edit 패널에서 Edit → Agent 모드로 변경하고 원하는 모델(GPT-4o, o1, o3-mini, Claude 3.5 Sonnet, Gemini 2.0 Flash)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하나의 파일 또는 여러 파일에 대해 코드를 스스로 수정, 제안해 보시기 바랍니다. 현재 Github Copilot Free 계정으로 월별 2,000개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참고. Agent Mode 페이지 | 데모 영상 | Github Copilot Free 계정 생성 | 가격 티어
Jace: AI 이메일 에이전트 |
|
|
- 소개: 이전 이메일 응답 기록, 캘린더 스케줄, 첨부 파일이나 웹 기록 등을 기반으로 이메일 답장을 작성해주는 이메일 에이전트 서비스입니다.
- 활용: 많은 시간을 고객들과의 일정 조율을 진행하고, 인비를 보내는 데 시간을 할애하는 세일즈, 비즈니스 개발, 고객 서비스 직군이 활용하기 유용한 서비스입니다.
- 참고. Jace 페이지 | 데모 영상 | 무료 트라이얼 | 공식 데모 신청 | 가격 티어
Elevenlabs: Studio (전. Projects) — 긴 텍스트 → 오디오 변환 편집툴 |
|
|
- 소개: 긴 분량의 텍스트를 오디오 형식으로 출력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오디오에 생동감을 불어넣을 수 있게 다양한 캐릭터 설정, 음성 커스터마이징, 속도 조절 등도 변경할 수 있습니다.
- 활용: 최대 3개의 프로젝트를 무료로 제작 가능합니다. 중요한 발표를 준비중이신 분들은 스크립트를 본인의 목소리로 저장하여 듣고 다니면서 익숙해지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참고. Studio 페이지 | 데모 영상 | 무료 트라이얼 | 가격 티어
|
|
|
모델/인프라
프로젝트/상품/서비스
에세이/팟캐스트/뉴스레터/보고서
|
|
|
프로젝트/상품/서비스
에세이/팟캐스트/뉴스레터/보고서
가이드/튜토리얼
|
|
|
- 큰 포부를 가진 자들은 종종 자신이 원하는 것을 이미 가진 사람들을 쫓지만, 아이러니하게도 Outlier의 길은 오직 한 사람만을 위한 길일 뿐입니다. 모든 Outlier들은 자신만의 길을 개척해야 합니다 (@anuatluru)
- 이 지구상에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tobi)
- 한 사람이든 수백만 명이든 청중(Audience)을 확보하는 것은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설득력 있게 할 말이 없거나, 공감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달하지 못해 청중을 얻는 데 실패합니다. 이 활동에 성공하는 소수의 사람은 보통 미친 카리스마, 끈기 또는 다른 사람들의 욕구를 통찰하는 독특한 능력을 갖췄습니다 (@signulll)
- 우리가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차별점은 인내심입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1년 안에 할 수 있는 일을 과대평가하고 10년 안에 할 수 있는 일을 과소평가합니다. 장기적인 레이스를 가는 데 있어 더 똑똑하거나 운이 좋거나 능숙할 필요가 없습니다. 지속적인 끈기만 있으면 됩니다 (@AkshayNarisetti)
- 최선을 다해 훌륭한 일을 해내는 것에는 깊은 만족감이 있는데, 첫 번째 인정은 스스로에게서 나와야 합니다 (@rauchg)
- 당신은 아무것도 없이 태어나 아무것도 없이 죽을 것입니다. 그 사이의 모든 것은 빌린 것입니다 (@IAmMarkManson)
|
|
|
여러분의 참여를 환영합니다.
'데일리 노트' 뉴스레터는 독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로 기획되었습니다. 의견 남기기를 통해 여러분들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뉴스레터 내용에 대한 의견, 다른 크리에이터분들에게 선보이고 싶은 제품/서비스, 공유하고 싶은 이야기, 협업하고 싶은 내용 모두 환영합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