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ch word in a prompt is like an ingredient in a recipe, and the order in which they are arranged shapes the final creation, much like the steps in cooking a meal” (@umesh_ai)
About 데일리 노트
디지털 크리에이터로서의 길을 현재 걷고 있거나, 갈 계획이 있는 모든 이들이 때로는 제작자로써, 때로는 소비자로써영감(Inspiration)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생각 공간을 마련하고자뉴스레터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영역에 제한을 두지 않되, 소프트웨어와 디자인 두 영역을 중심으로무형의 가치(Intangible Value)를 지닌 소식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번 목요일 편 뉴스레터는 "디자인 & 아이디어" 주제의 이야기들을 담았으며, 차주 월요일에는 "소프트웨어 & 비즈니스" 주제로 구독자분들을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AI 비디오의 민주화: 표현의 확장, 끊임없는 가능성
지난주에는 ‘AI 예술가’ 개념에 대한 논쟁 담론을 공유드렸습니다. 이번주에는 ‘AI 비디오의 민주화’에 대한 흥미로운 의견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Techno-optimist(기술 긍정론자)인 Chubby님은 Runway(텍스트-비디오 변환 툴)을 통해 제작된 비디오 하나를 인용하며 'AI 동영상 제작을 대중의 손에 맡겨야 하는 이유'를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 설명합니다.
"일반 사람들은 대형 비디오 스튜디오와 달리 표현하거나 말하고 싶은 것에 대한 제한 또한 검열이 없습니다
그렇기에 AI 툴들을 통해 생성된 비디오들은 (우리들이 차마 영상으로 표현할거라고 생각하지 못한 시나리오들을 형상화시켜) 독특한 유머를 가지며,
궁극적으로 표현의 자유를 보장해줍니다.”
감정(행복)을 표현한 영상, 악몽을 형상화한 영상, Alice in Wonderland 동화를 재해석한 영상 등 AI 비디오를 통해 상상 속에서만 있던 생각들을 누구나 부담 없이 형상화 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이 신기할 뿐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장면을 현실화 시키고 싶으신가요?
AI 이미지 생성기 툴 'Playground AI' 창업자인 Suhail님도 해당 트렌드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기도 했습니다. UI/UX 디자이너들이 (앱 화면과의 상호작용을 관할하는) UI 툴들을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게 되면서 앞으로는 아이디어 < 문서 < 디자인 < 프로토타입 순서대로 중요도가 설정 될 것이라 합니다.
Claude Sonnet 3.5 Artifact의 오픈소스 버전의 코드를 이용해 다른 LLM 모델인 ChatGPT, Gemini, Llama-3에도 해당 기능을 구현해낼 수 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이 Github 페이지를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개념: 주말, 돈, 회사
Harry Potter 영화를 본 사람은 누구나 한번쯤 Invisible 망토를 가졌으면 하는 로망을 가질 거라 생각합니다. 신기하게도 우리 삶 곳곳에는 실체는 없어 만질 수는 없어도 존재(Exist)한다고 믿는 개념들이 있습니다. George Mack은 이런 개념들을 ‘보이지 않는 기술’( Invisible Technologies)이라 표현하며 주요 사례로 주말, 돈, 회사가 있다고 합니다.
주말: 다른 어떤 동물도 ‘주말’을 경험하지 못합니다. 현실에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죠. ‘주말’은 인간의 뇌 속에서만 존재합니다. 우리가 만들어낸 위약입니다.
돈: 인간이 가치를 부여했기 때문에 가치를 지닙니다. 돈이란, 누가 가치를 부여 받을 예정인지 알려주는 큰 채무 증표(IOU)라고 볼 수 있습니다.
회사:위험을 감수하며 모두가 공유하는 상상의 친구입니다. 여러 사람들이 함께이 상상의 친구를 소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만지거나 볼수는 없습니다.
아직 존재하지 않지만 앞으로 우리가 개발할 개념들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어쩌면 회사들이 끊임없이 브랜딩 활동을 펼치는 것도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무형의 가치를 확보하기 위해서이지 않을까 싶습니다.